본문 바로가기

낭만 샌프란시스코

구름 다리를 건너 키작은 등대를 만나다 - 포인트 보니타(Point Bonita)

반응형

POINT BONITA LIGHT HOUSE

샌프란시스코만의 숨은 보석

 

글/Paul Hwang

 

 

스페인어로 보니타(Bonita)’라는 뜻은 예쁘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샌프란시스코의 숨은 보석인 포인트 보니타에 자리한 등대를 보고 있자면 그저 예쁘다라는 표현 외에는 다른 것은 생각이 나지 않습니다.

 

등대는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사람이 거주하면서 운영했던 등대로 태평양에서 금문교를 가장 멀리서 있는 곳이기도 하죠. 위치상으로 멋진 해안 드라이브를 자랑하는 마린 헤드랜드를 통해 진입할 있고 인근으로 소샬리토가 자리해 있어, 같이 둘러보기 좋은 코스로도 유명합니다.

 

구글 어스를 통해서 본 포인트 보니타 등대. 금문교를 가장 멀리서 볼 수 있는 포인트이기도 합니다

 

등대는 지난 1855 캘리포니아 금광 시대 당시 골든 게이트 근처로 몰려든 보트들을 위해 높이 해발 306피트에 세워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당시 등대가 너무 높다 보니 안개가 끼면 등대의 기능을 없어서 1877 지금의 자리, 높이 해발 124피트 자리로 옮겼다고 하네요. 새로운 등대의 자리로 가기 위해선 길이 36미터의 터널을 통과해야 했습니다.

 

포인트 보니타 인근 마린 헤드랜드 지역에 낀 안개. 등대가 너무 높으면 안 보이는 이유가 있습니다.

 

1940년대까지 터널을 통과한 트레일을 통해 등대에 도착할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1954 현수교(케이블로 이은 다리) 세워졌고, 이곳은 미국에서 오직 현수교를 통해서만 있는 등대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보니타로 가기 위해선 절벽을 뚫어 만든 터널을 지나 현수교를 건너야 도착할 있습니다. 이렇듯 멋진 루트를 지나 들어가기 때문에, 포인트 보니타는 캘리포니아에 자리한 등대 중에서는 아마 최고의 멋과 이색적인 경험을 있는 곳이 아닐까 합니다.

 

현수교를 통해야 들어갈 수 있는 포인트 보니타 등대. 일~월 오후 12시30분에서 3시30분까지만 엽니다.

 

그런데 보니타 등대는 아무 때나 있는 곳은 아닙니다. 공식적으로는 일요일과 월요일 오후 1230분부터 오후 330분까지만 방문이 가능합니다. 또한 다리를 건너 등대를 있는 것도 다리를 건넌 인원만큼 들어가고 나온 레인저가 입장을 허락합니다. 그래도 놓칠 없는 풍경이 있기에 기다림은 오히려 즐겁습니다.

 

작은 등대 주변으로는 멋진 태평양의 모습과 멀리 포인트 예레스 국립해안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절벽 위에 놓인, 반대편 바다 암석으로 가는 현수교를 걷는 느낌은 마치 바다 구름위를 걷는 같은 환상적인 느낌을 갖게 합니다. 등대에 도착하면 1 작은 전시실 등대 자체의 볼거리는 찾기 어렵습니다. 다만 등대를 배경으로 북쪽으로 보이는 포인트 예레스 국립해안의 모습을 있고 마치 그림과 같은 풍경과 함께 사진을 찍기에도 그만입니다.

 

마린 헤드랜드의 멋진 드라이브 코스

포인트 보니타 등대 주변으로는 로데오 비치가 있고 영화 <범블비> 촬영지로도 유명한 배터리 멘델, 버드 아이슬랜드 오버룩도 있습니다. 포인트 보니타는 날씨 또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의해 방문이 중단될 있으니 사정에 미리 웹사이트를 통해 현재 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코로나 19로인해 공원이 닫혀 있을 때는 리오프닝 일정을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포인트 보니타 등대 : https://www.nps.gov/goga/pobo.htm

 

구글 어스로 만나보는 포인트 보니타 등대

https://earth.google.com/web/search/point+bonita+light+house/@37.8160184,-122.5288032,31.50391748a,0d,60y,263.15066089h,97.84940601t,0r/data=CigiJgokCZuwp1Ir5EJAEVe9ig-Q00JAGdoHFumP2l3AIR3rHEhR413AIjAKLEFGMVFpcE10ZHpHSnlCOW51QzFZU0hkTFo2eU84c2w2WGlPWVlnRXlvdml1EAU

반응형